방송 접근이 어려운 시각 및 청각 장애인분들을 위해, 2025년에도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맞춤형 TV 보급 사업을 시행합니다.
올해는 총 3만 5천 대가 보급되며, 이전보다 더 커진 화면과 향상된 기능으로 더 많은 장애인들이 방송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됩니다. 신청을 고려하고 계신 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 신청 기간, 신청 방법, TV 사양, 기능 등을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 맞춤형 TV란?
‘맞춤형 TV’는 시각·청각 장애인의 시청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기능이 탑재된 고해상도 스마트TV입니다.
지원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음성 안내 기능: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기반 메뉴 탐색 지원
- 🎞️ 자막·수어 화면 분리: 자막과 수어 화면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
- 🤟 수어 화면 확대 기능: 수어 방송 시 수어 화면 비율 확대 가능
- 📺 고선명 Full HD 43인치 스마트TV: 기존보다 더 넓고 선명한 화면 제공
이러한 기능을 통해 시청자의 접근성과 만족도를 모두 높여주는
장애인 맞춤형 방송기기라고 볼 수 있어요.
📦 올해 보급되는 TV 사양은?
- 📏 화면 크기: 43인치 (Full HD)
- 🌐 스마트TV 기능 탑재 (앱, 인터넷 이용 가능)
- 🔊 음성지원 및 자막 조절, 수어 화면 기능 내장
- 🏠 실내용 벽걸이 또는 스탠드형 옵션
👉 전년도에 비해 사양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 부담은 그대로
저소득층은 무료, 일반 시·청각 장애인은 5만 원 자부담
👥 지원 대상은?
구분 | 대상 | 조건자부담 여부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 | 전액 무료 |
그 외 시각·청각장애인 | 전체 장애인 | 5만 원 자부담 |
2022년부터는 저소득층 외에도 전체 시·청각 장애인까지 확대 적용 중이며,
보다 폭넓은 장애인 대상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 신청 기간
신청대상 | 신청대상 |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 | 2025년 4월 21일 ~ 5월 9일 |
그 외 시각·청각 장애인 | 2025년 6월 9일 ~ 6월 27일 |
선착순이 아니지만, 기간 내 미신청 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꼭 기한을 지켜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
온라인과 방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신청
- 접수처: 시청자미디어재단 전용 누리집
- 신청서 작성 및 장애인 증빙서류 첨부
2. 방문 신청
-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 장애인등록증, (해당 시) 기초수급 증명서 등 지참
📌 신청 후, 심사를 거쳐 TV는 자택으로 직접 배송 및 설치됩니다.
💡 꼭 알아두세요
- 한 가구당 1대 지원 (이미 지원받은 경우 중복 불가)
- 설치 시 별도 기사 방문 설치 지원
- TV 수령 후, 기능 안내 및 간단 사용법 교육 제공
- 인터넷 연결 필수 (일부 기능 사용 시)
🤝 맞춤형 TV 보급 사업의 의미
이 사업은 2000년 자막 수신기 보급으로 시작되어 2013년부터 본격적인 TV 보급으로 확대되었으며,
2024년까지 총 29만 대 이상의 맞춤형 TV가 장애인 가정에 전달되었습니다.
2025년은 작년보다 3천 대 늘어난 총 3만 5천 대가 보급되며, 더 많은 시·청각 장애인들이 정보 접근의 평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문의처
- 방송통신위원회
- 시청자미디어재단 콜센터: 1670-2855
-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