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 정부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한 단계 진화된 육아정책인 ‘육세권’ 중심의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육세권’은 단순한 보육 지원을 넘어 일자리, 주거, 보육이 함께 연결되는 복합 육아환경 조성을 의미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육세권’의 개념, 정책 추진 배경, 주요 지원 내용, 그리고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육세권이란 무엇인가?
‘육세권’은 **‘육아 + 역세권(또는 생활권)’**을 결합한 신조어입니다.
즉, 보육시설 접근성, 안정된 주거, 일과 육아의 병행이 가능한 근로환경이 모두 갖춰진 지역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앞으로 "아이를 낳고 키우기 위해 이사 가는 사회"에서 "아이를 낳으면 머물고 싶은 사회"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육아휴직과 유연근무 확대
🔹 부부 동시 육아휴직 지원
-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 사용 시 6개월간 월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
- 각각 사용 시 3개월간 월 150만 원 지원
🔹 유연근무제 도입 기업 확대
- 가족돌봄휴직, 단축근무 제도를 가진 기업에 인건비 지원금 확대
- 초등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직장인까지 제도 대상 확장
🔹 공공부문부터 시범 적용
- 공공기관과 지자체부터 유연근무제 정착 모델 구축
🏫 공보육·돌봄 시스템 강화
🔹 ‘늘봄학교’ 전국 확대
-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전일 돌봄 체계를 갖춘 늘봄학교 확대
-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등 연계 운영
🔹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 공보육 인프라 확충, 2030년까지 국공립 비율 50% 달성 목표
- 시간연장·휴일 보육 지원 확대로 맞벌이 가정 실질 지원
🏘 육아 친화적 주거정책 추진
🔹 육아형 공공주택 공급
- 신혼희망타운, 행복주택, 국민임대주택을 육아 특화 설계로 공급
- 어린이집, 놀이터, 도서관 등 주거단지 내 육아 인프라 포함
🔹 출산가정 주거지원 강화
- 다자녀 가정에는 입주 우선권 및 임대료 감면 혜택
👨👩👧 공동육아 인프라 확대
🔹 공동육아나눔터 2,000개소 이상 운영
- 동네 커뮤니티 단위의 부모 공동 돌봄공간
- 장난감 대여, 놀이 프로그램, 부모 상담 등 복합 운영
🔹 부모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
- 양육 스트레스 관리, 부모 교육 콘텐츠 확대 제공
- 육아동행포털을 통한 정보 통합 제공
📝 요약표: 대한민국 육세권 정책 핵심 정리
구분 | 주요 내용 |
정책 명칭 | 육세권 (육아+생활권 통합정책) |
시행 시기 | 2025년부터 전국 확대 적용 |
육아휴직 혜택 | 부부 동시 육아휴직 시 최대 월 200만 원 |
유연근무 적용 | 초등 2학년까지 단축·돌봄휴직 가능 |
공보육 확대 | 국공립 어린이집 비율 50% 목표 |
돌봄서비스 | 초1~6 대상 늘봄학교 전국 확대 |
주거정책 | 육아 맞춤형 공공주택, 다자녀 우대 |
커뮤니티 지원 | 공동육아나눔터, 부모교육 통합 운영 |
✅ 대한민국 육세권, 아이 키우기 좋은 나라로 가는 길
이번 정부 정책은 ‘출산율 반등’이라는 목표에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육아와 일, 생활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육세권’의 확대는 출산을 결정하는 현실적 요인을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라면, 지금부터 관련 제도와 지역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고,
각 지자체 및 복지포털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